쉘퍼 음식물처리기, 가성비도 좋고 디자인도 예뻐서 많은 분들이 구매하는 제품중 하나예요. 그런데 쉘퍼 음식물처리기 구매 전, 치명적인 단점 네 가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음식물처리기의 종류와 쉘퍼 대신 추천제품까지 얘기해 볼게요.

쉘퍼 음식물처리기 단점
쉘퍼 음식물처리기는 단점이 많은 제품중 하나예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한 후, 2차 처리가 필요해서 정말 귀찮아요. 그리고 음식물처리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제품이 아니고요.
마지막으로는 소음과 냄새도 타제품에 비해 심한 편이랍니다.
1. 음식물처리기의 목적 상실
첫 번째 단점은 사실 쉘퍼 음식물처리기만의 단점은 아니에요. 건조분쇄 음식물처리기 모두에 해당하는 내용이에요.
건조분쇄 음식물처리기는 사실 음식물처리기의 목적을 상실한 제품이에요. 왜냐면 이걸 사용하느니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사용하는 게 더 편리하거든요.
왜냐고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음식물 모아두기
첫 번째로 음식물을 모아둬야 해요. 건조분쇄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한 번 돌리는 데 5~6시간이 걸리거든요. 그래서 보통 자기 전에 작동시켜두고 자는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하루종일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를 어딘가에 모아둬야 한다는 거예요.
요즘 나오는 제품들은 음식물처리기에 보관도 가능하게끔 나오기는 해요. 하지만 보관만 가능하지 부패가 안되게 막아준다거나 하지는 못하거든요.
그래서 밀폐된 음식물처리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보관하고 하루만 깜빡하더라도 내부에 곰팡이가 가능하고 악취가 나게 된답니다.
상온에 음식물을 모아두기 싫어서 음식물 처리기 구매하는 것, 아닌가요? 그 음식물 쓰레기의 냄새와 초파리가 싫어서요. 그런데 이런 것들에서 자유로워지기 힘들더라고요.
처리후 음식물쓰레기 봉투에 버리기
두 번째로, 음식물 처리기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고 난 뒤 나오는 쓰레기는 일반쓰레기로 배출이 안된다는 거예요.
건조분쇄 방식의 음식물처리기가 처음 나왔을 때만 하더라도 일반쓰레기로 버려도 된다는 안내가 있었어요. 그런데 최근에는 90% 이상의 지자체에서 음식물 쓰레기로 배출해야한다고 안내하거든요.
그렇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뒀다가 음식물처리기 내부통에 넣고 작동후 나오는 가루, 덩어리들을 다시 음식물 쓰레기 봉투로 옮겨야 한다는 거예요.
이러느니 그냥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더 자주 갖다 버리는 게 낫지 않을까요?
내부통 세척
음식물 쓰레기를 버리러 덜 가는 것만으로도 만족해서 구매했다고 가정해 볼게요. 그런데 마지막 관문이 남았어요. 바로 내부통 세척이에요.
음식물쓰레기를 돌리는 통이기 때문에 작동 후에는 냄새나 처리된 음식물의 찌꺼기들이 남아있게 되거든요.
안에 분쇄를 위한 날도 있어서 이 날에 베이기도 쉽고요. 어쨌든 이 내부통을 세척해서 건조까지 해놔야 한다는 거예요.
음식물 쓰레기 버리러 나가기 귀찮아서 음식물처리기를 구매했지만 어째 할 일이 더 늘어나 더 귀찮아 지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음식물처리기 안쓰냐고요? 아니요 사용하고 있어요. 제가 사용하는 음식물처리기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소개할테니 끝까지 봐주세요.
2. 보조금 지원대상 아님
두 번째 쉘퍼 음식물처리기의 단점은 바로 음식물처리기 지원금 대상이 아니라는 거예요.
모델마다 음식물처리기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게 있고 없는 게 있거든요. 지자체에 따라 다르지만 많게는 최대 50만 원 이상, 70~80%까지도 지원이 되니 그만큼 손해인 셈이죠. 다른 음식물처리기 구매하면 지원받을 수 있는 금액이니깐요.
3. 소음
쉘퍼 음식물처리기의 세 번째 단점은 바로 소음이에요. 쉘퍼 공식홈페이지에서 보면 작은 소음이라고 광고하는데요. 최저가 40dB이면 작은 편은 아니에요.
실제 사용후기를 보더라도 떡, 빵, 밥같은 탄수화물을 넣었을 때에는 돌아가는 소리가 탁탁 하면서 꽤 시끄럽다고 되어있어요.
소음이 거슬린다는 건 건조분쇄 음식물처리기의 단점 중 하나기도 해요.
4. 냄새
쉘퍼 음식물처리기의 마지막 단점은 바로 냄새예요. 이 냄새는 구매한 직후에는 맡아볼 수 없어요. 필터가 장착되어 있거든요.
그런데 필터가 수명을 다하고 나서부터는 정말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활짝 열어서 주방 여기저기 묻혀놓은 것 같은 냄새가 나요.
정말 참을 수 없는 악취요. 그 때가 필터를 갈아줄 시기인데요. 미리미리 필터를 구비해두지 않으면 악취가 집안 곳곳에 퍼지더라고요.
이 단점 또한 대부분의 건조분쇄 음식물처리기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음식물처리기 종류
그렇다면, 건조분쇄 음식물처리기의 단점을 보완한 음식물처리기가 있을까요?
음식물처리기의 종류는 크게 세 가지가 있어요. 첫 번째는 싱크대 설치형, 두 번째는 위에서 소개한 건조분쇄형, 세 번째는 미생물형이예요.
하지만 싱크대 설치형도 이제는 싱크대에 설치해서 미생물로 처리를 하기 때문에 미생물 음식물처리기에 포함시키도록 할게요.
건조분쇄 음식물처리기
음식물처리기의 종류별 특징과 장단점에 대해 간단히 얘기해 볼게요.
건조분쇄 음식물처리기는 고온으로 음식물을 건조후 내부 칼날로 분쇄하는 방식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결과물이 커피가루나 작은 콩크기의 덩어리로 나오는 것이고요.
장점은 크기가 작아서 원룸같이 좁은 집에서도 쓰기 좋다는 점이고요. 또 가격이 저렴하다는 점이에요.
대표적인 단점으로는 사용하기가 정말 귀찮다는 걸 들 수 있겠네요.
미생물 음식물처리기
미생물 음식물처리기는 미생물이 음식물을 먹으면서 처리해주는 방식의 음식물처리기에요. 그렇기 때문에 결과물이 없이 99% 분해되고요.
장점으로는 음식물 쓰레기가 생기면 언제든지 넣을 수 있다는 것, 2차 처리를 하지 않아도 돼서 정말 편하다는 게 있어요.
단점으로는 미생물에 대한 묘한 거부감이 있을 수 있다는 것, 미생물 관리가 익숙하지 않다는 게 있겠네요.
쉘퍼 음식물처리기 대신 추천 제품
그래서, 쉘퍼 음식물처리기 대신 어떤 제품을 추천하고 싶냐면요. 바로 제가 현재 사용하고 있는 미생물 음식물처리기의 1위 제품이에요. 이 제품은 아래 링크를 눌러 확인하실 수 있어요.
이 제품이 왜 추천하는지, 어떤 게 좋은지 장단점에 대해 남겨볼게요.
장점
정말 많은 장점이 있지만 제가 실제 느꼈던 장점에 대해서 정리해 볼게요.
- 따로 기계가 작동하는 게 아니라 소음이 도서관보다 조용하다.
- 언제든 음식물을 넣을 수 있다.
- 필터가 반영구 사용이라 유지비용이 들지 않는다.
- 너무 편하다!
단점
단점으로는 위에서 말씀드렸던 미생물에 대한 거부감 그리고 비싼 가격대를 들 수 있을 것 같아요.
미생물 관리
첫 번째 단점은 미생물 관리에 대한 부담감인데요. 미생물 음식물처리기 사용하시는 분들은 이 부분은 단점이라고 절대 생각하지 않을 거예요.
익숙하지 않아서 그렇지, 한 번 사용해보고 나면 전혀 어렵지 않거든요.
초반에만 미생물을 깨어나게 하기 위해 물을 넣고 사용하면 되는데요. 미생물을 더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빵 한 장이나 밥 한 공기정도 넣어두고 12시간 후에 사용하면 돼요.
그 이후에는 용량만 지켜 사용한다면 따로 관리해줄 필요 없고요. 집에서 김장을 한다거나 여름철, 매일같이 수박을 먹는다거나 하는 집이 아니라면 미생물이 힘들어하는 경우는 보기 힘들어요.
가격
두 번째 단점은 바로 비싼 가격인데요. 대부분의 미생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건조분쇄 방식보다는 더 비싼 편이에요. 그 이유는 음식물처리기 자체의 크기가 크기 때문이에요.
그리고 미생물 톱밥의 가격도 한 몫 하고요. 하지만 필터를 교체할 필요가 없고 음식물 쓰레기 봉투도 더이상 살 필요가 없어요.
그래서 유지비용이 거의 들지 않고요. 건조분쇄 방식의 음식물처리기 필터값이 2만 원정도인데요. 2~3개월마다 교체해야한다고 하니 1년에 10만 원 이상은 유지비용으로 든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건조분쇄 음식물처리기를 사용했을 때의 귀찮음은 돈으로 환산할 수가 없죠..!
린클 음식물 처리기, 오늘 구매하시면 내일 도착이에요! 그래서 내일부터 바로 음식물 쓰레기 버리러 나가지 않아도 된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