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염에 걸리면 정말 아프고 힘들죠. 저도 아이 둘을 모유수유하면서 유선염을 경험했었는데요. 유선염에 걸리게 되는 원인과 유선염에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 그리고 해결방법까지 자세하게 알려드릴게요.
유선염이란?
유선염이란 유방이 세균에 감염되는 것, 즉 유방에 생긴 염증을 얘기해요. 유선염 또는 유방염이라고도 해요. 유선염은 18세부터 50세 사이의 여성에게서 발생해요. 모유수유하는 수유부의 염증성 질환과 비수유기의 염증성 질환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
모유수유하는 엄마의 20~30% 이상이 한 번쯤은 겪어보는 질환으로 흔한 질병이에요.
유선염 원인
유선염의 원인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는데요. 모유수유하는 산모에게서 찾아볼 수 있는 유선염의 원인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어요.
먼저, 유두에 난 작은 상처로 세균이 들어가 감염되어 염증이 생겼을 수도 있어요. 제 경우는 유두백반을 바늘로 하얀 알갱이 긁어내다가 유두를 통해 염증이 생기지 않았나 의심이 되더라고요.
또 다른 원인으로는 생성된 젖이 제대로 빠지지 않고 고여있다가 울혈이 생겨 염증이 생겼을 수도 있어요.
유선염 증상
유선염의 증상은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일단 유방울혈이 생겼고 그 쪽이 2~3일동안 계속 아프다면 유선염을 의심해볼 수 있어요. 저 또한 한 쪽 가슴이 찌릿찌릿하게 아파서 유선염에 걸린 걸 알게 되었어요.
- 갑자기 유방이 아프기 시작한다.
- 38.5도 이상의 고열이 생긴다.
- 몸살에 걸린 것처럼 온몸이 쑤신다.
- 오한이 든다.
- 통증이 있는 부위가 붉게 변한다.
- 열감이 느껴진다.
제가 유선염에 걸렸을 때 이 모든 증상이 다 나타나지는 않았어요. 갑자기 유방이 아프기 시작하고 통증이 있는 부위가 붉게 변하기만 했답니다.
모든 증상을 동반하지 않아도 유선염일 수 있기 때문에 평소와 다른 정도의 통증이 느껴진다면 출산했던 산부인과나 근처 유방외과에 방문해 보시는 걸 추천드려요.
유선염 해결방법
유선염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세 가지가 있어요. 내원해서 의사선생님께 진료받기, 최대한 자주 물리기 그리고 염증을 가라앉히기 위해 면역력 올리기예요.
내원하여 진료받기
유선염의 가장 효과적인 해결방법은 위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내원해 정확한 의사의 진료를 보는 거예요. 내원하면 유방 초음파를 통해 염증을 확인한답니다.
이렇게 유방 초음파를 본 후, 유선염이라고 진단받게 되면 항생제를 처방받는데요.
처방받은 항생제를 3~4일만 복용해도 증상이 금방 좋아지기 때문에 아픈 걸 참고 기다릴 필요가 없어요. 저는 3일 정도 참다가 병원에 갔는데요. 항생제 먹으니 이틀만에 좋아지더라고요.
자주 물리기
자주 물리는 방법은 고인 젖을 빼내는 데에 있어 효과적이에요. 젖이 고여있는 게 울혈이고 울혈에 염증이 생긴게 유선염인데요. 결국에는 고인 젖이 빠져야 염증도 좋아지기 때문이에요.
평소보다 더 자주 물리고 또 아픈쪽부터 먼저 물리다보면 울혈이 풀리게 돼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염증도 점점 사라지겠죠?
저같은 경우는 더 자주 물리지는 않고 유선염이 생긴 가슴부터 직수를 했어요. 염증이 생기면 젖양이 줄 수도 있다고 해서 의식적으로 아픈 쪽부터 수유했답니다.
유선염 증상이 없어진 지금은 양쪽 모두 수유하고 있고 젖양 줄어듦없이 완모중이랍니다.
면역력 올리기
마지막으로 염증을 없애기 위해 면역력을 올리는 것 또한 중요해요. 충분한 수분섭취, 충분한 수면시간이 기본이 되어야 하고요. 또 아침, 점심, 저녁 하루 세끼 꼭 챙겨먹어야 해요. 항생제를 먹어야 하니 끼니는 절대 거르면 안된답니다.
또한 모유수유를 하는 동안에는 아기에게 영양분을 계속 나누어주기 때문에 영양제도 챙겨먹는 것이 좋은데요. 최소한 단유하기 전까지 철분제, 칼슘제, 여성 유산균 세 가지는 꼭 챙겨드시는 걸 추천드려요.
제가 출산한 의사선생님께서 이 세가지는 꼭 챙겨먹는 게 산후회복에도, 모유수유에도 좋다고 하셨답니다.
자주 묻는 질문
- 항생제 먹으면서 모유수유해도 되나요?
답변: 모유수유가 가능한 항생제를 처방받았다면 모유수유해도 돼요. - 고름이 나오는 경우 모유수유해도 되나요?
답변: 아픈 유방에서 고름이 나오는 경우에는 모유수유는 중지해야 해요. 대신 아픈 쪽 유방을 계속 짜줘야 울혈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요. - 타이레놀을 복용해도 되나요?
답변: 너무 아플 때는 타이레놀을 복용해도 모유수유에는 상관없어요. - 유선염이 오면 모유수유를 중단해야하나요?
답변: 모유수유를 계속 해도 돼요. 농양이 생겨 고름이 나오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유수유를 계속 할 수 있어요. - 유선염이 생겼는데 아기한테 젖을 계속 먹여도 될까요?
답변: 유선염은 염증이 유방에 생긴 것이지 모유에 생긴 것이 아니기 때문에 먹여도 돼요.
<함께 보면 좋은 글>
유방 울혈 원인, 치료방법, 예방법까지